등급별 신용관리법, 최고를 노리는 2등급
신용관리방법은 거의 같지만, 그래도 등급별로 특징이 있는 부분이 있어서 이를 기준으로 포스팅을 해볼까 합니다.
최고1등급을 노리는 2등급.
솔직히 이정도면 구태여 신경을 써서 올릴 필요가 없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현재에도 충분히 관리를 잘 하고 있다는 거죠.
그런데 뭔가 한가지가 부족해서 1등급이 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무조건 최고를 노리시는 분들께는 되러 불만인 위치이기도 합니다.
그 부족한 부분만 채워주면 최우량이 될 수 있습니다.
20대, 30대 연령에서 2등급이라면 시간이 필요한 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크레딧뷰로(신용평가회사)의 평가기준 중에는 신용거래기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3년간 연체가 하나도 없는 사람과 10년간 연체가 하나도 없는 사람, 누구를 더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다른 조건이 다 똑같다면 당연히 10년 간 문제가 없었던 쪽이 신뢰도가 더 높습니다.
이런 특징이 평가에도 똑같이 반영됩니다. 20대, 30대에서는 아직 신용거래 기간이 짧아 최고단계까지 올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죠.
지금처럼 그대로 관리해도 멀지않아 1등급이 될 수 있습니다.
또다른 경우로 보면 소액부채가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300만원 수준의 신용대출이라든지, 그보다 조금 큰 수준의 담보대출이 있다면 이걸 갚아버리면 바로 상승하게 됩니다. 이땐 언제든 올릴 수 있으니 너무 조급할 필요가 없죠.
결국 2등급에서는 일반적인 관리법대로만 잘 해도 됩니다.
기본적인 신용관리법은
1. 연체하지 않기
2. 총 채무규모를 줄일 것
3. 신용카드를 적당히 잘 사용할 것(통상 한도의 30% 이내), 없을 때에는 체크카드라도 꾸준히 사용할 것입니다.
물론 세부적으로는 여러가지를 따져봐야할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핵심! 시중은행에서 볼때에는 올크레딧(KCB)과 나이스지키미(과거 마이크레딧) 둘 중에 한 쪽이라도 낮으면 그게 기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올4등급, 나이스1등급이라면 은행에서 조회할 땐 4등급으로 판단하게 됩니다.
부도 위험성을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더 보수적인 쪽을 기준으로 하는 거죠. 그래서 양쪽 모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